본문 바로가기

밀그램실험2

밀그램실험III: 조건별 복종률 차이 밀그램은 실험 참가자의 권위에 따른 복종률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조건을 달리해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실험설계 조건과 복종률의 결과를 살펴보겠습니다.밀그램 실험1961년, 예일대학교의 심리학자 스탠리 밀그램은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렸던 나치 전범 아이히만의 재판을 주의 깊게 지켜보게 됩니다. 아이히만은 유대인 대량 학살에 가담하고도 "나는 명령을 따랐을 뿐이다"라고 말했죠.그는 정말 단순히 상부 지시에 따른 것일까? 아니면 그 안에는 인간 본성에 관한 더 깊은 심리가 작용하고 있었던 걸까?이 질문에서 출발한 것이 밀그램의 복종 실험(Milgram Obedience Experiment)입니다.실험 설계1. 실험 구성교사(Teacher): 실험 참가자, 전기충격을 가하는 역할학생(Learner): 실제로는 .. 2025. 4. 11.
"나는 명령을 따랐을 뿐입니다" – 밀그램 실험으로 본 복종 심리(II) "나는 명령을 따랐을 뿐입니다" – 밀그램 실험으로 본 복종 심리1961 미국의 한 실험실, 전기 충격 장치 앞에 선 실험 참가자들은 생각보다 쉽게 타인의 고통을 묵인하게 됩니다. '그저 명령을 따랐을 뿐'이라는 말로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한 이들은 도대체 어떤 심리에 사로잡혀 있었을까요?밀그램 실험을 통해 드러난 인간의 복종 심리를 탐구합니다. 우리는 얼마나 쉽게 권위에 따르는 존재일까요? 심리학 실험의 충격적인 결과를 함께 살펴봅니다.나는 하급자로서 상관의 명령을 거부할 수 없었다, 나는 따라야만 하는 위치에 있다는 말을 하면서 자신의 부당한 행동에 대해 면죄부를 부여하는 사람들을 종종 보기도 합니다. 그 사람들을 향해 비난하는 사람을 보면서 한편으론 ‘진짜 그 상황이 오면 저 사람들은 어떤 선택을 할.. 2025.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