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밀그램실험III: 조건별 복종률 차이

by 나블자평 2025. 4. 11.
반응형

밀그램은 실험 참가자의 권위에 따른 복종률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조건을 달리해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실험설계 조건과 복종률의 결과를 살펴보겠습니다.

밀그램 실험

1961년, 예일대학교의 심리학자 스탠리 밀그램은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렸던 나치 전범 아이히만의 재판을 주의 깊게 지켜보게 됩니다. 아이히만은 유대인 대량 학살에 가담하고도 "나는 명령을 따랐을 뿐이다"라고 말했죠.

그는 정말 단순히 상부 지시에 따른 것일까? 아니면 그 안에는 인간 본성에 관한 더 깊은 심리가 작용하고 있었던 걸까?

이 질문에서 출발한 것이 밀그램의 복종 실험(Milgram Obedience Experiment)입니다.

밀그램실험III: 조건별 복종률 차이

실험 설계

1. 실험 구성

  • 교사(Teacher): 실험 참가자, 전기충격을 가하는 역할
  • 학생(Learner): 실제로는 연기자, 전기충격을 받는 역할
  • 실험자(Experimenter): 흰 가운을 입은 연구자, 실험을 진행하며 명령을 내리는 권위자

2. 실험 과정

  1. 참가자는 '기억력 실험'이라는 명목으로 모집
  2. 무작위 추첨인 척 하지만, 실험참가자는 항상 교사 역할을 맡게 설계되어 있음
  3. 교사는 학생이 단어쌍을 외우지 못하면 점점 전압을 높이며 전기충격을 가해야 함(최대전압 450V까지 설정)
  4. 권위자는 계속해서 명령을 반복함: "계속해 주십시오", "실험을 위해 필요합니다" 등

3. 실험 초기 설정

  • 교사와 학생은 다른 방에 있음
  • 교사는 학생의 비명과 항의 소리만 들을 수 있음 (인터폰으로 전달)
  • 고통을 직접 보지 않기 때문에 심리적 거리감 발생

실험 결과: 조건별 복종률 

1. 결과

  • 무려 65%의 참가자가 마지막 전압인 450V까지 충격을 가함
  • 참가자 대부분은 불안해하며 땀을 흘리고 손을 떨었지만, 권위자의 지시에 복종함
  • 단 35%만이 중간에 실험을 중단했음
  • 인간은 도덕적 기준보다 권위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받는 존재임을 보여줌

2. 실험별 조건과 복종률 차이

 시각적, 심리적 거리감이 클수록 복종률이 증가함. 권위가 강할수록 복종이 더 쉽게 일어남.

실험 조건 설정 설명 복종률
기본 조건 예일대학교 연구실, 교사-학생 서로 다른 방 65%
실험 참가자와 학생이 같은 방 학생과 마주보고 있음
(심리적 거리감 감소)
40%
신체 접촉 조건 실험 참가자가 학생 손에 직접 전극을 붙임
(고통에 대한 직.간접적 책임 증가)
30%
전화를 통한 명령 권위자가 전화로만 지시
(거리감으로 인한 권위자의 존재감 약화)
20%
권위자의 복장을 연구복에서 평상복으로 바꿈 복장 차이에 따른 복종률
(권위 약 복종률 감소)
20%
권위자 불일치 권위자 두 명이 서로 다른 지시를 내림
(권위 혼란 복종 붕괴)
0%
권위적이지 않은 장소 예일대가 아닌 일반 중고등학교 내 민간연구소에서 진행
(권위 감소로 복종률 낮아짐)
48%
지시 전달자 역할 설정 실험 참가자가 다른 사람에게 지시하도록 함
(책임감 분산 복종 증가)
92.5%
친구 관계 설정 실험 참가자가 학생과 친구라는 설정
(정서적 거리감 거의 없음)
15%
  • 에이전트 상태(agentic state): 명령을 받는 순간 책임을 권위자에게 전가하고, 자신은 단순한 '명령 수행자'가 된다고 봄
  • 점진적 강화(gradual escalation): 천천히 강화되는 자극에 무감각해지는 경향이 있음(일명 냄비 속 개구리 이론)

마무리

밀그램 실험에 대해 포스팅을 여러 번 하게 되었는데요, 아마도 계엄사태를 겪으면서 관심이 갔는 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실험은 읽어보셨다시피 충격적인 실험이 아닐 수 없습니다. 만약 나라면 이라는 생각조차 하고 싶지 않은 실험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우리는 누구나 권위 앞에서 흔들릴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그런 흔들림의 가능성을 부정하지 않고 마주보는 용기라고 생각합니다. 항상 윤리적인 선택만을 강요할 수 없는, 때로는 ‘이게 맞아’라는 말조차 조심스러운 세상입니다.  하지만 그렇기에 더더욱, 자신만의 기준과 정체성, 그리고 책임 있는  태도가 중요해지는 것 같습니다.
 
 

"나는 명령을 따랐을 뿐입니다" – 밀그램 실험으로 본 복종 심리(II)

"나는 명령을 따랐을 뿐입니다" – 밀그램 실험으로 본 복종 심리1961 미국의 한 실험실, 전기 충격 장치 앞에 선 실험 참가자들은 생각보다 쉽게 타인의 고통을 묵인하게 됩니다. '그저 명령을 따

ohneulheiler.com

복종 심리, 밀그램 실험, 권위 복종, 심리학 실험, 인간 본성, 사회심리학, 에이전트 상태, 집단행동, 심리 실험 사례, 윤리와 권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