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위니캇의 중간 대상에 대한 사례

by 나블자평 2024. 1. 6.
반응형

위니캇의 중간 대상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0살의 남자아이가 생일날 친구로부터 선물을 받게 됩니다. 어른 손만한 크기의 캐릭터 인형이었는데 아이는 친구가 주는 선물에 마음이 들떠서 신이 났습니다. 처음 받아본 인형 선물이었기에 소중히 대했고 크기가 작았기 때문에 항상 들고 다녔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같이 하다 보니 인형에 대한 마음이 더 깊어졌고 기분이 좋을 때도 나쁠 때도 자신의 감정을 풀어 놓으면서 인형을 친구처럼 대했습니다. 그러다 어느 날 멀리 드라이브를 나갔다가 인형을 잃어버리고 말았습니다. 2년 가까이 지니고 다녔던 인형을 잃어버리자 아이는 사색이 되었고 인형을 찾아 동선을 다 훑게 됩니다. 하지만 결국 찾지 못하였고 아이는 실컷 울고 난 뒤 그동안 잘 지내왔다며 이젠 보내줘야겠다는 말을 합니다. 그리고 그 후로 비슷한 인형을 사기도 하고 다른 종류의 인형을 샀으나 처음 선물 받은 인형만큼의 애착은 생기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일정 기간 동안 잃어버린 인형의 그림을 그리거나 아이클레이로 만들기도 하고 가끔 ‘잃어버리지 않았으면 좋았을텐데...’라는 말을 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6학년이 되자 관심사가 다른 곳으로 옮겨 갔고 진로를 위해 열심히 공부를 하게 됩니다. 한 가지 달라지지 않은 점은 마음에 드는 인형이 보이면 구매를 한다는 것과 본인의 옷을 고를 때면 재질이 부드럽고 촉감이 좋은 옷, 폭신폭신한 감촉의 옷 위주로 선택을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대학생이 된 지금도 마음에 드는 인형이 있으면 모아서 기숙사 침대에 나열해 놓고 있습니다. 인형을 구매한다고 해서 인형에 빠져 살지는 않습니다. 동아리 활동도 열심히 하고 있고 성적도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본인이 정한 목표를 향해 성실히 생활하는 모범적인 학생입니다. 남들이 보기에 캐릭터 인형 모으기는 취미일 뿐이었으며 남학생은 나중에 인형을 기부할 거라고 합니다.

위니캇의 중간 대상에 대한 사례

감정적 연결 및 애착 형성

아이가 친구로부터 받은 캐릭터 인형은 심리적인 안정과 위안을 제공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 인형은 단순한 물리적 물건으로서의 존재가 아닌 아이가 기쁠 때나 슬플 때 자신의 감정을 풀어놓을 수 있는 존재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인형을 통해 감정을 표현한다는 것은 인형이 감정을 표현하고 처리하는 방식을 배울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대상이 된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것은 Winnicott이 언급한 중간 대상이 아이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고 정서적 발달을 돕는 역할을 하는 전형적인 예입니다.

상실 경험의 적응과 성장

인형에 대한 애착은 그것이 단순한 물체가 아니라 아이에게 중요한 감정적 가치를 지닌 대상이었음을 보여줍니다.이 인형의 상실은 단순히 물건의 손실 이상의 것을 의미하며, 아이에게 감정적 지지와 안정감을 제공하던 대상을 잃은 것과 같습니다. 아이가 인형을 잃어버린 후 슬퍼하고 잃어버린 인형의 그림을 그리거나 아이클레이로 만드는 행동은 상실감이라는 감정에 적응하고 정리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창조적 표현 활동은 내면의 감정을 외부로 표출하고 상실에 대한 슬픔을 건강하게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아이가 상실을 받아들여 정서적으로 성장해 앞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6학년이 되면서 관심사가 변하고 학업에 집중하는 것은 정상적인 발달 과정의 일부로 더 이상 감정적으로 흔들리지 않고 있음을 나타내고 아이가 다양한 관심사와 목표를 탐색하며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것은 심리적 성숙뿐만 아니라 자신의 정체성을 세우기 시작하고 본인의 흥미를 다양화시키는 것과 동시에 복잡한 사회적 요구와 학업적 요구에 적응하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중간 대상의 역할과 의미

대학생이 되어서도 마음에 드는 인형을 구매하고 모으는 행동은 감정적 안정을 위한 즉 중간 대상에 대한 지속적인 심리적 안정의 욕구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정신적 문제가 아니라 감정적 필요를 반영하는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의존적이지 않고 취미로 발달한 것을 볼 때, 아이의 무의식적인 편안함의 추구 방식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학업적인 면에서도 성실함을 보이고 동아리 활동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것만 보아도 사회적 요구에도 반응하며 잘 적응하는 것으로 일상 생활에서의 정서적 균형과 건강한 취미 생활의 조화로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이는 심리적으로 균형 잡힌 성장을 나타내며 아이가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발달시키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마무리

이 남자아이의 이야기는 Winnicott의 중간 대상 이론에 부합하는 것으로 중간 대상이 아동의 정서적 발달과 자아 형성 그리고 성장 과정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어린이와 성인의 심리적 발달에 있어 어떠한 역할을 하는 지도 잘 보여줍니다. 중간 대상은 단순히 어린 시절의 자신의 물건에 대한 애착을 넘어 성인기의 정서적 안정과 자아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 내용들을 잘 받아들이신다면 아이들이 좋아하는 물건이나 다른 어떠한 것에 대한 애착 행동과 감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중간 대상이 궁금하시다면

 

위니캇의 중간 대상에 대하여

서양 만화영화를 보면 담요를 끌고다니는 캐릭터를 보신 기억이 있으실 겁니다. 여자 아이들은 곰인형을 많이 껴안고 다니기도 합니다. 아이들이 애정을 담아서 가지고 다니는 애착 인형이나

ohneulheil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