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65 밀그램 실험: 권위와 복종에 대한 시사점 밀그램 실험: 권위와 복종에 대한 시사점1960년대 초 예일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였던 스탠리 밀그램 (Stanley Milgram) 이 수행한 이 실험은 심리학 분야에서 가장 유명하고 논란이 많은 연구 중 하나로 남아 있습니다. 이 실험은 사람들이 권위 있는 인물의 명령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명령이 비윤리적일 때에도 복종의 경향을 보이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습니다. 밀그램 실험의 배경실험을 하게 된 동기는 1961년 작가 C.P. 스노우의 "끔찍한 범죄들이 반란의 이름이 아닌 복종의 이름으로 더 많이 자행되었다."는 글귀와 유태인에게 자행된 행위들이 복종에 의한 것이었을까에 대한 의문이었습니다. 독일 범죄자들이 "상부의 명령"을 따랐다고 주장한 것에 대한 반응으로 기획된 이 실험은 사람들이 얼마나 쉽게 .. 2024. 1. 9. 위니캇의 중간 대상에 대한 사례 위니캇의 중간 대상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0살의 남자아이가 생일날 친구로부터 선물을 받게 됩니다. 어른 손만한 크기의 캐릭터 인형이었는데 아이는 친구가 주는 선물에 마음이 들떠서 신이 났습니다. 처음 받아본 인형 선물이었기에 소중히 대했고 크기가 작았기 때문에 항상 들고 다녔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같이 하다 보니 인형에 대한 마음이 더 깊어졌고 기분이 좋을 때도 나쁠 때도 자신의 감정을 풀어 놓으면서 인형을 친구처럼 대했습니다. 그러다 어느 날 멀리 드라이브를 나갔다가 인형을 잃어버리고 말았습니다. 2년 가까이 지니고 다녔던 인형을 잃어버리자 아이는 사색이 되었고 인형을 찾아 동선을 다 훑게 됩니다. 하지만 결국 찾지 못하였고 아이는 실컷 울고 난 뒤 그동안 잘 지내왔다며 이젠 보내줘야.. 2024. 1. 6. 위니캇의 중간 대상에 대하여 서양 만화영화를 보면 담요를 끌고 다니는 캐릭터를 보신 기억이 있으실 겁니다. 여자 아이들은 곰인형을 많이 껴안고 다니기도 합니다. 아이들이 애정을 담아서 가지고 다니는 애착 인형이나 담요 그 외 물건들을 위니캇은 중간 대상이라 하였고 아이들의 발달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습니다.중간 대상의 정의와 중요성도널드 위니캇의 중간 대상(median object)은 아동 심리학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아동이 자신과 외부 세계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물건을 의미합니다. 주로 테디베어, 담요, 또는 특정한 장난감과 같이 자신에게 위안을 주는 물건들인데, 이 물건들은 아이에게 안정감을 줍니다. 특히 부모가 없는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중간 대상은 정서 발달 과정에서 아이들이.. 2024. 1. 5. 아미마와 아니무스: 무의식 속 반대 성별의 인격 아니마와 아니무스 개념 여성과 남성은 생물학적으로도 구분이 되지만 오랜 세월 사회적으로도 그 역할이 구분되어 왔습니다. 사회적 요구에 맞춰 살아오면서 남성과 여성의 무의식에는 외적 페르소나에 대응하는 내적 인격이 형성되었는데 남성의 무의식에는 여성적 인격이 여성의 무의식에는 남성적 인격이 자리하게 되었습니다. 즉, 우리가 외적 인격인 페르소나를 가지고 외부 세계와 관계를 맺으면서 살아가는 것처럼 내면세계에도 이와 대조되는 태도, 자세, 성향이 생겨나게 되는데 남성에게 생기는 여성적 인격을 아니마, 여성에게 생기는 남성적 인격을 아니무스라고 합니다. 외적 인격인 페르소나가 외부 세계와 나를 이어주는 것처럼 내적 인격인 아니마, 아니무스는 나를 내면세계와 이어줍니다. 아니마, 아니무스는 나의 내면세계를 깊이.. 2024. 1. 3. 분석심리학과 무의식에 대하여 분석심리학의 개념 분석심리학은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의 심리학적 이론으로, 개인의 무의식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하는 학문입니다. 분석심리학은 꿈, 상상, 자유 연상과 같은 무의식적인 요소를 통해 개인의 내면세계를 탐구하고 이해하여 정신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자신의 내면세계를 통해 심리적인 성장과 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통해 더욱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다고 말합니다.. 분석심리학은 20세기 초반, 융이 당시의 정신 분석학에서 이견을 제시하면서 독자적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융은 초기에는 지인이자 선생이었던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긴밀한 협력 관계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프로이트와의 견해 차이로 인해 결국 독립적인 이론을 제시하게 되었습니다. 융의 .. 2024. 1. 2. 이전 1 ··· 5 6 7 8 9 10 11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