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59 학부모들의 심리 분석 예시 학부모들의 심리 분석 예시 학부모 모임에는 가지 않는다. 몸이 다 망가져서 뭔가에 시간과 노력을 들인다는 게 쉽지가 않기 때문이다. 아이들 돌보는 것이 나의 최대 관심사였고 최대의 핵심 과제였다. 어느 날 아이가 학교서 받았다며 문구세트를 보여줬다. 분명히 ‘학부모들이 돈을 모아 구매를 했을 텐데...’ 하는 생각에 고맙기도 하고 미안한 마음도 들었다. 공개수업이 있던 날 학급 대표가 참석자들의 명단과 전화번호를 걷어 갔고 학부모 모임이 있으니 나오라는 연락을 받았다. 아이가 선물도 받고 와서 고마운 마음에 가서 회비라도 내려고 모임에 나갔다. 나까지 모두 4명. 나중에 합류한 사람까지 5명. 얼마 되지도 않는 적은 인원이어서 깜짝 놀랐다. 누구누구 엄마 라는 소개가 이어지고 어떤 학부모가 나에게 대뜸 .. 2024. 1. 22. 존 볼비의 애착 이론 및 유형 존 볼비의 애착 이론은 아동의 초기 경험이 아동의 정서적 발달과 미래의 대인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는 심리학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볼비에 의해 제시되었으며, 이후 메리 에인스워스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습니다. 존 볼비의 애착 이론 애착이란 어린 아동이 부모(보호자)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강한 정서적 유대를 말합니다. 이 유대감은 아동이 안전하고 안정된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볼비는 아동이 보호자와 안정적인 애착 관계를 맺는 것이 정서적 안정 및 사회적 기술, 스트레스 관리 능력을 개발하고 관리하는데 중요하다고 보고 어린 시절의 애착 경험이 성인기의 대인 관계, 자아상 그리고 정서적 건강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볼비의 애착 .. 2024. 1. 21. Case Study of Winnicott's Transitional Object Let's look at a case regarding Winnicott's transitional object. A 10-year-old boy receives a character doll from a friend on his birthday. The doll, about the size of an adult's hand, excites the boy, who is thrilled with the gift from his friend. Since it was his first doll, he treated it preciously and carried it everywhere due to its small size. Spending time with it deepened his affection, a.. 2024. 1. 20. 밀그램 실험: 권위와 복종에 대한 시사점 밀그램 실험: 권위와 복종에 대한 시사점 1960년대 초 예일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였던 스탠리 밀그램 (Stanley Milgram) 이 수행한 이 실험은 심리학 분야에서 가장 유명하고 논란이 많은 연구 중 하나로 남아 있습니다. 이 실험은 사람들이 권위 있는 인물의 명령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명령이 비윤리적일 때에도 복종의 경향을 보이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습니다. 밀그램 실험의 배경 실험을 하게 된 동기는 1961년 작가 C.P. 스노우의 "끔찍한 범죄들이 반란의 이름이 아닌 복종의 이름으로 더 많이 자행되었다."는 글귀와 유태인에게 자행된 행위들이 복종에 의한 것이었을까에 대한 의문이었습니다. 독일 범죄자들이 "상부의 명령"을 따랐다고 주장한 것에 대한 반응으로 기획된 이 실험은 사람들이 얼마나 쉽.. 2024. 1. 9. 위니캇의 중간 대상에 대한 사례 위니캇의 중간 대상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0살의 남자아이가 생일날 친구로부터 선물을 받게 됩니다. 어른 손만한 크기의 캐릭터 인형이었는데 아이는 친구가 주는 선물에 마음이 들떠서 신이 났습니다. 처음 받아본 인형 선물이었기에 소중히 대했고 크기가 작았기 때문에 항상 들고 다녔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같이 하다 보니 인형에 대한 마음이 더 깊어졌고 기분이 좋을 때도 나쁠 때도 자신의 감정을 풀어 놓으면서 인형을 친구처럼 대했습니다. 그러다 어느 날 멀리 드라이브를 나갔다가 인형을 잃어버리고 말았습니다. 2년 가까이 지니고 다녔던 인형을 잃어버리자 아이는 사색이 되었고 인형을 찾아 동선을 다 훑게 됩니다. 하지만 결국 찾지 못하였고 아이는 실컷 울고 난 뒤 그동안 잘 지내왔다며 이젠 보내줘야.. 2024. 1. 6. 이전 1 ··· 3 4 5 6 7 8 9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