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2

절차탁마(切瑳啄磨) : 스스로를 갈고닦는 군자의 지혜 절차탁마(切瑳啄磨) 돌을 자르고(切), 닦고(瑳), 옥을 쪼고(啄), 갈아서(磨) 완성한다는 뜻으로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수양하고 완성해 나가는 과정을 말합니다. 스스로를 갈고 닦아  자기를  계발하고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자세  유래: 《시경(詩經)》 위풍(衛風) 기오(淇奧) 제 1연이 시는 깨끗하고 위엄 있는 군자의 도덕성과 품격을 찬양하는 시로,  끊임없이 자신을 수양하는 모습을 자연에 빗대어 표현하고 있습니다. 瞻彼淇奧,綠竹猗猗。有匪君子,如切如磋,如琢如磨。瑟兮僴兮,赫兮咺兮。有匪君子,終不可諠兮。 저 기수(淇水)의 물굽이를 바라보니, 왕골과 마디풀이 우거져 있네.깨끗하신 군자는 끊는 듯(切), 닦는 듯(瑳), 쪼는 듯(啄), 가는 듯(磨),묵직하고(瑟兮), 위엄 있으며(僴兮), 빛나고(赫兮.. 2024. 12. 16.
권불십년: 권력의 덧없음에 대하여 “권불십년(權不十年)” 이 짧은 네 글자는 대통령 계엄령과 탄핵을 겪은 지금의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듭니다."아무리 강한 권력도 십 년을 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단순히 권력의 유한함을 말하는 것뿐만 아니라인생과 세상의 이치를 보는 지혜가 담겨 있습니다. 1. 권불십년, 어디에서 왔을까?《한서(漢書)》에 기록된 구절로 권불십년은 옛 중국에서 유래한 말로, 당시 권력 다툼이 치열했던 왕조 시대의 시대상을 반영한 말입니다. 실제 역사를 보면, 많은 왕조와 권력자들이 처음에는 막강한 힘을 가졌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몰락했습니다. 진시황제의 진나라가 통일 후 15년 만에 멸망한 것도, 조선 후기 세도 정치의 붕괴도 권불십년의 생생한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2. 역사 속 '권불십년'의 사례한국의 현대사에서.. 2024. 12. 15.
Dokdo is a territory of Korea(Translation:Deepl) Dokdo Dokdo is an island located at the eastern tip of South Korea, in the East Sea. It is located in Dokdo-ri, Ulleung-eup, Ulleung-gun, Gyeongsangbuk-do, South Korea, about 87.4 kilometers from Ulleungdo. Dokdo consists of two main islands, east and west, and about 89 surrounding reefs, covering an area of about 0.187 square kilometers.  Dokdo is a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Sejong .. 2024. 11. 1.
독도는 대한민국의 영토 우리 땅 독도 독도는 한국의 동쪽 끝에 위치한 섬으로, 동해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에 속하며, 울릉도에서 약 87.4km 떨어져 있습니다. 독도는 동도와 서도의 두 주요 섬과 주변의 약 89개의 암초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약 0.187㎢입니다. 독도는 대한민국의 영토입니다.  세종실록 지리지 (1454년) : 조선 시대 공식 역사서인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울릉도와 독도를 우산도와 무릉도라는 이름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이 두 섬이 조선의 영토임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대한제국 칙령 제41호 (1900년) : 대한제국 시절 고종은 칙령 제41호를 통해 울도군을 울릉도, 독도, 죽도로 구성한다고 명시했습니다. 이 문서는 독도를 한국 영토로 포함한 공식 정부 기록입니다.1905.. 2024. 10.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