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2

위니캇의 중간 대상에 대하여 서양 만화영화를 보면 담요를 끌고 다니는 캐릭터를 보신 기억이 있으실 겁니다. 여자 아이들은 곰인형을 많이 껴안고 다니기도 합니다. 아이들이 애정을 담아서 가지고 다니는 애착 인형이나 담요 그 외 물건들을 위니캇은 중간 대상이라 하였고 아이들의 발달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습니다.중간 대상의 정의와 중요성도널드 위니캇의 중간 대상(median object)은 아동 심리학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아동이 자신과 외부 세계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물건을 의미합니다. 주로 테디베어, 담요, 또는 특정한 장난감과 같이 자신에게 위안을 주는 물건들인데, 이 물건들은 아이에게 안정감을 줍니다. 특히 부모가 없는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중간 대상은 정서 발달 과정에서 아이들이.. 2024. 1. 5.
아미마와 아니무스: 무의식 속 반대 성별의 인격 아니마와 아니무스 개념 여성과 남성은 생물학적으로도 구분이 되지만 오랜 세월 사회적으로도 그 역할이 구분되어 왔습니다. 사회적 요구에 맞춰 살아오면서 남성과 여성의 무의식에는 외적 페르소나에 대응하는 내적 인격이 형성되었는데 남성의 무의식에는 여성적 인격이 여성의 무의식에는 남성적 인격이 자리하게 되었습니다. 즉, 우리가 외적 인격인 페르소나를 가지고 외부 세계와 관계를 맺으면서 살아가는 것처럼 내면세계에도 이와 대조되는 태도, 자세, 성향이 생겨나게 되는데 남성에게 생기는 여성적 인격을 아니마, 여성에게 생기는 남성적 인격을 아니무스라고 합니다. 외적 인격인 페르소나가 외부 세계와 나를 이어주는 것처럼 내적 인격인 아니마, 아니무스는 나를 내면세계와 이어줍니다. 아니마, 아니무스는 나의 내면세계를 깊이.. 2024. 1. 3.
분석심리학과 무의식에 대하여 분석심리학의 개념 분석심리학은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의 심리학적 이론으로, 개인의 무의식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하는 학문입니다. 분석심리학은 꿈, 상상, 자유 연상과 같은 무의식적인 요소를 통해 개인의 내면세계를 탐구하고 이해하여 정신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자신의 내면세계를 통해 심리적인 성장과 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통해 더욱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다고 말합니다.. 분석심리학은 20세기 초반, 융이 당시의 정신 분석학에서 이견을 제시하면서 독자적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융은 초기에는 지인이자 선생이었던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긴밀한 협력 관계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프로이트와의 견해 차이로 인해 결국 독립적인 이론을 제시하게 되었습니다. 융의 .. 2024. 1. 2.
페르소나: 나를 보여주는 외적 인격 페르소나 개념의 이해 우리는 ‘나’라는 인격체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여기 한 남자가 있습니다. 한 부모의 자식으로 태어나 ‘아들’이 되었고 성인이 되고 결혼을 했습니다. 결혼을 함으로써 ‘남편’이 되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아이의 ‘아빠’가 되었고 손자가 태어나 ‘할아버지’가 되었습니다. 이 남자는 사회에서 개인에게 강요하는 가치관, 규범을 마치 자기 것인 양 받아들이고 아들로서, 남편으로서, 아빠로서, 할아버지로서 그 역할을 해나가면서 살고 있습니다. 이것을 분석심리학에서는 페르소나라고 정의하였고 외적 인격이라고 부릅니다. 이 남자처럼 우리는 사회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페르소나를 썼다 벗었다 하면서 적응해 나가고 있으며 사회적 기대와 상황에 따라 어떠한 역할이 주어지든 다양하게 변모하며 살아갑니다... 2024. 1.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