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학부모들의 심리 분석 예시

by 나블자평 2024. 1. 22.
반응형

학부모들의 심리 분석 예시 

 

학부모 모임에는 가지 않는다.

몸이 다 망가져서 뭔가에 시간과 노력을 들인다는 게 쉽지가 않기 때문이다.

아이들 돌보는 것이 나의 최대 관심사였고 최대의 핵심 과제였다.

어느 날 아이가 학교서 받았다며 문구세트를 보여줬다.

분명히 ‘학부모들이 돈을 모아 구매를 했을 텐데...’ 하는 생각에 고맙기도 하고 미안한 마음도 들었다.

공개수업이 있던 날 학급 대표가 참석자들의 명단과 전화번호를 걷어 갔고 학부모 모임이 있으니 나오라는 연락을 받았다. 아이가 선물도 받고 와서 고마운 마음에 가서 회비라도 내려고 모임에 나갔다.

나까지 모두 4명. 나중에 합류한 사람까지 5명. 얼마 되지도 않는 적은 인원이어서 깜짝 놀랐다.

누구누구 엄마 라는 소개가 이어지고 어떤 학부모가 나에게 대뜸 화를 냈다.

 

“아니, 아이가 선물을 받았으면 그 선물이 어디서 났는지 생각 안 해봤어요?”

 

순간 깜짝 놀랐다. 놀라서 쳐다봤더니 다시 말을 한다.

 

“선물이 어디 하늘에서 떨어졌겠어요? 그 선물이 그냥 나왔겠냐고요.”

 

본인들이 회비를 모아 아이들을 위하는 마음에 선물을 해준 건 정말 고마운 마음이었으나, 무조건 나에게 화를 내는 그 상황은 이해가 되지 않았다.

 

“엄마들이 모임에도 안 나오고. 애들한테 관심이 있는 건지 없는 건지.”

 

가만히 듣고 있는 다른 엄마가 나보고 왜 안 나왔냐면서 물어본다.

 

“밭일이 바빠서 시간을 내 수가 없었어요.”

 

그 즈음 농사가 바쁜 철이라 핑계를 댔다.

몸이 안 좋다며 구구절절 개인 사정을 설명하고 싶지도 않았고 나에게 호의적이지 않은 사람들 틈바구니 속에서 본의 아니게 변명이란 걸 해야 하는 상황도 별로였다.

누군가 화를 내는 엄마에게 눈치를 줘서 더 이상의 말은 없었으나 가시방석이 따로 없었다.

 

‘나한테 화풀이하려고 불렀나?’

 

하는 생각마저 들었다.

엄마들은 선생님 흉, 아이들 흉보다가 자리가 끝났다. 실속이 전혀 없는 모임이었다.

다음을 기약하며 헤어졌고 다시는 나가지 않으리라 다짐하고 집으로 돌아왔다.

 

얼마 뒤 아이들이 중간고사를 봤다. 우리 아이는 전 과목 100점을 받았다.

그 후 학교 행사에서 학부모 모임 때 참석한 엄마를 봤는데 나를 보더니 피해버렸다.

그리고 학부모 모임에 대한 연락은 학년이 끝날 때까지 오지 않았다.

분위기나 눈치 상 아이의 성적과 무관하지 않아 보였다. 

학부모의 입장은 아이의 성적에 비례한다는 걸 새삼 느꼈다.

아이의 성적이 잘 나올수록 엄마들이 조심스럽게 대한다.

내가 공부해서 받는 성적이 아님에도 내 어깨가 펴진다는 거였다.

나쁜 기분은 아니었으나 기분이 좋지도 않았다. 아이 따로 학부모 따로 아닌가?

아이들에 대한 부모의 성적 욕심이 만들어낸 문화여서 얼굴이 펴지질 않았다.

 

학부모들의 심리 분석 예시

 

 

학부모들의 태도 및 행동 분석

 

글에서는 학부모 모임과 관련된 복잡한 감정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지금도 벌어지고 있는 일일지도 모릅니다. 학부모들의 관계, 학부모의 관심과 참여도, 아이의 학업 성적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잠깐이나마 볼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학부모 모임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 학부모 모임에 참여하지 않는 개인적인 이유와 그로 인해 느끼는 복잡한 감정이 표현되었습니다.

사회적 기대와 압박: 학부모 모임에서의 상호작용은 사회적 기대와 압박 그리고 개인적인 상황에 대한 이해 부족을 보여줍니다.

성적과 사회적 인식: 자녀의 학업 성적이 학부모의 사회적 지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과 이에 대한 개인적인 느낌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글쓴이의 자녀에 대한 인식: 아이의 학업 성적과 학부모의 사회적 지위가 서로 연관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별개의 문제임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일기에서 학부모로서의 경험에 대한 복잡한 나타납니다. 구체적인 에피소드와 개인적인 관점이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학부모의 입장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을 보여주고 있는 글입니다.

 

 

그림자 투사의 개념

 

"그림자 투사"는 스위스 심리학자 칼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그림자는 개인의 무의식 속에 존재하는, 주로 부정적이거나 인정하기 어려운 자기 자신의 일부를 지칭합니다. 그림자는 개인이 의식적으로 거부하거나 무시하는 성향, 감정, 욕망 등을 나타냅니다.

무의식적 부정적 특성: 그림자는 개인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성향이나 특성(예: 분노, 질투, 이기심)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특성들은 주로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거나 개인의 자아상과 충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투사 과정: 개인은 자신의 이러한 부정적 특성을 다른 사람에게 투사합니다. 즉, 자신 안에 있는 특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이 과정은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일어나게 됩니다.

갈등과 대립의 원인: 그림자 투사는 종종 갈등과 대립의 원인이 됩니다. 개인은 자신이 투사한 특성을 다른 사람에게서 인식해 보게 되고 그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거나 반응하게 됩니다.

 

학부모들의 심리 분석 예시

 

 

학부모 모임 상황에서의 그림자 투사

 

학부모가 글쓴이에게 화를 낸 상황은 그림자 투사가 발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부모는 자신이 느끼는 스트레스나 불만, 학부모 모임에 대한 불안감 등을 글쓴이에게 투사한 것입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학부모는 자신이 느끼는 불안이나 책임감을 글쓴이가 모임에 참여하지 않음으로써 느끼게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화를 내는 과정에서 자신의 불만이나 스트레스를 표출했으며, 이것은 자신의 내면적 갈등을 외부로 투사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학부모 자신이 느끼는 부모로서의 부담이나 열등감을 글쓴이의 행동에 대한 비판으로 표현했을 수 있습니다.

개인이 자신의 내면적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기보다는 외부로 전이하는 그림자 투사의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이러한 투사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것은 개인적인 성장과 자기 인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심리학적 요소들

 

학부모가 글쓴이에게 화를 낸 상황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관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프로젝션(Projection): 프로젝션은 자신의 감정이나 태도를 다른 사람에게 투사하는 심리적 방어 기제입니다. 화를 낸 학부모는 자신의 불안, 죄책감, 또는 부담감을 글쓴이에게 투사했을 수 있습니다. 자신이 아이들을 위해 투자하는 시간과 노력에 대한 부담감을 글쓴이에게 표출한 것입니다.

집단 동조(Group Conformity): 학부모 모임 내에서는 일정한 사회적 기대나 규범이 있을 수 있습니다. 모임에 참석하지 않는 것이 그 규범에 어긋난다고 여겨졌을 때 그로 인한 불만이나 실망이 글쓴이에 대한 화로 나타났을 수 있습니다.

사회적 비교(Social Comparison): 사람들은 자신과 타인을 비교하며 자신의 가치를 평가합니다. 다른 학부모는 자신과 글쓴이의 참여도를 비교하면서 자신의 가치를 끌어올리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정서적 감염(Emotional Contagion): 학부모 모임에서 참여하지 않은 학부모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이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쳐 분위기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감정은 쉽게 전염되며 한 사람의 화가 다른 사람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집단적 분위기가 한 사람으로 하여금 감정을 표출하게 할 수 있습니다.

학부모들의 심리 분석 예시

 

 

착한 아이 콤플렉스

 

글쓴이가 개인적 사정으로 학부모 모임에 참석하기 싫었음에도 불구하고 선물에 대한 고마움으로 모임에 참석한 것은 착한 아이 콤플렉스의 반영이라 볼 수 있습니다.

타인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 선물에 대한 감사함을 표현하고자 하는 마음이 타인에게 좋은 인상을 주고자 하는 욕구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습니다.

갈등 회피: 갈등을 피하고자 하는 마음이 모임 참석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타인과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감정이나 상황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이에 해당됩니다.

자신의 욕구 억제: 개인적으로 불편함을 느끼고 참석하고 싶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타인에게 호의를 베풀기 위해 자신의 감정이나 욕구를 뒤로 한 채 행동했을 수 있습니다.

 

 

학부모와 아이와의 상관관계

 

아이의 성적이 좋아서 글쓴이를 회피한 행동 역시 심리학적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비교 이론: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이나 성취를 평가할 때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른 학부모가 글쓴이의 아이가 좋은 성적을 받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그들은 자신의 자녀나 자신의 부모 역할과 비교하며 열등감이나 불안을 느꼈을 수 있습니다. 

투사적 동일시: 학부모들이 글쓴이를 피하는 행동은 투사적 동일시의 일종일 수 있습니다. 이는 자신의 불안감이나 열등감을 다른 사람에게 투사하고 그 사람을, 투사한 감정의 원인인 것처럼 인식하는 과정입니다. 글쓴이의 아이가 뛰어난 성적을 받음으로써 다른 학부모들은 자신들의 불안감을 글쓴이에게 투사하고 회피함으로써 자신들의 감정을 관리하고자 하는 욕구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아 방어 메커니즘: 회피 행동은 자아 방어 메커니즘의 일종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른 학부모들이 글쓴이를 피함으로써 자신들의 불편한 감정이나 열등감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려는 무의식적인 방어 행동으로 볼 수 있습니다.

집단 내 역학: 아이의 성적이 학교라는 사회에서의 지위 지표로 여겨질 때, 높은 성적의 아이를 둔 부모는 학교에서 다르게 인식되고 대우받을 수 있습니다.

 

학부모들의 심리 분석 예시

 

 

위 분석이 반드시 정확한 심리 상태를 완벽히 반영하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왜냐하면 글쓴이의 관점에서 적은 글만을 보고 분석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글을 읽을수록 학부모님들은 뭔가를 깨달으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금 아이에 대한 태도, 학부모에게 바라는 모습과 태도, 행동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시는 기회가 되셨으면 합니다. 생각의 결론은 아이를 위한 태도와 행동으로 변화되시길 진심으로 바라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투사: 마주해야 할 자신의 그림자

가끔 이런 경험을 하시는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모르는 사람이 나를 안 좋게 본다거나 처음 만나는 사람인데 괜히 그 사람과는 가까이 하기 싫다거나 하는 경험입니다. 아니면 안 좋은 경험이

ohneulheiler.com

 

투사의 이해와 극복: 예시로 살펴보는 투사

투사의 개념을 포스팅 했기에 오늘은 '투사의 이해와 극복: 예시로 살펴보는 투사'라는 주제로 글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듯이 투사는 주로 방어 메커니즘 중 하나로 작

ohneulheiler.com

 

 

그림자: 내면의 또 다른 나

그림자의 개념과 기원 그림자는 정신 분석학에서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심리학의 선구자인 칼 융이 처음으로 소개한 용어입니다. 그림자는 의식에 포함되지 않은 자각되지 않거나 부정적으

ohneulheiler.com

 

 

착한 아이 콤플렉스 극복을 위하여

착한 아이 콤플렉스는 어린 시절의 경험으로 비롯된 독특한 행동 양식으로, 이는 자존감 저하와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착한 아이 콤플렉스의 정의와

ohneulheil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