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실험2 "나는 명령을 따랐을 뿐입니다" – 밀그램 실험으로 본 복종 심리(II) "나는 명령을 따랐을 뿐입니다" – 밀그램 실험으로 본 복종 심리1961 미국의 한 실험실, 전기 충격 장치 앞에 선 실험 참가자들은 생각보다 쉽게 타인의 고통을 묵인하게 됩니다. '그저 명령을 따랐을 뿐'이라는 말로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한 이들은 도대체 어떤 심리에 사로잡혀 있었을까요?밀그램 실험을 통해 드러난 인간의 복종 심리를 탐구합니다. 우리는 얼마나 쉽게 권위에 따르는 존재일까요? 심리학 실험의 충격적인 결과를 함께 살펴봅니다.나는 하급자로서 상관의 명령을 거부할 수 없었다, 나는 따라야만 하는 위치에 있다는 말을 하면서 자신의 부당한 행동에 대해 면죄부를 부여하는 사람들을 종종 보기도 합니다. 그 사람들을 향해 비난하는 사람을 보면서 한편으론 ‘진짜 그 상황이 오면 저 사람들은 어떤 선택을 할.. 2025. 4. 8. 아기 알버트 실험, 공포도 학습될 수 있을까? 아기 알버트 실험, 공포도 학습될 수 있을까?처음 이 실험을 접했을 때, 사실 좀 충격이었어요. 생후 9개월 된 아기에게 일부러 공포를 심어주는 실험이라니, 지금이라면 절대 불가능했겠죠. 하지만 ‘아기 알버트 실험’은 그만큼 심리학의 흐름을 바꾼 상징적인 연구이기도 해요. 인간의 감정조차 학습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이 실험은, 지금도 행동주의 심리학의 대표 사례로 인용되곤 하죠. 오늘은 이 흥미롭고 논란 많은 실험을 하나씩 풀어보려 해요. 이해하기 쉽고, 윤리적 맥락까지 함께 담아볼게요.1. 이론적 배경: 감정도 학습될 수 있을까? 2. 실험 동기: 왜 이런 실험을 했을까? 3. 등장인물과 피험자: 왓슨, 레이너, 그리고 알버트 4. 실험 설계: 조건화는 이렇게 이뤄졌다 5. 실험 과정 단계별 정리.. 2025. 4.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