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한민국 우리의 것

한국의 전통 음식 김치

by 나블자평 2024. 1. 26.
반응형

김치는 한국의 전통 발효 음식입니다.

김치의 주 재료로는 배추, 무, 열무, 오이, 쪽파 등 다양한 채소들이 있습니다. 채소를 소금에 절인 후 각종 재료가 들어간 김치 양념으로 버무려 바로 먹기도 하고 발효를 시켜 먹기도 합니다. 김치는 발효가 되는 과정에서 김치 유산균에 의해 새로운 맛과 향이 생성되는 장기 보관이 가능한 저장 식품이기도 합니다. 

 

한국의 전통 음식 김치

 

 

김치의 역사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서는 김치를 '지'라 표기했으며 고려 말에는 '저' 조선 초기 중종13(1518년)년 [벽온방]에는 '딤채'라는 기록이 보이고 1525년 [훈몽자회]에는 '딤채조'라 하였습니다. 기록의 '딤채'가 오늘날의 '김치'가 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삼국시대 (기원후 37년 - 668년) 의 김치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식품에 관한 구체적인 서적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삼국시대의 영향을 많이 받았을 일본에서 전해오는 문헌인 [쇼쇼원문서]나 [연희식]을 통해 식생활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문헌에 보면 소금, 술지게미, 장, 초, 느릅나무 껍질에 절인 김치와 유사한 식품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일본의 옛 사서인 『고사기(古事記)』에 의하면 오진왕[應仁王] 때 백제사람 수수보리가 건너와서 누룩으로 술을 빚는 방법을 가르쳤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문헌에 나온 것처럼 당시의 김치는 주로 소금에 절인 채소가 일반적이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처럼 삼국시대는 김치 역사에서 초기 단계로 볼 수 있으며 이 시기의 식생활과 문화적 배경이 후대의 김치 발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고려시대 (918년 - 1392년)의 김치

 

고려 중엽, 이규보의 「가포육영」과 이달충의 「산촌잡영」에서는 고려시대 김치에 대한 언급이 나와 있습니다. 이규보의 시에서는 순무를 활용한 김치, 특히 여름철에 먹기 좋은 무 장아찌와 겨울 내내 반찬으로 사용된 소금에 절인 순무가 기록되어 있으며, 이달충의 시에서는 여뀌와 마름을 섞어 소금에 절인 김치가 언급됩니다. 또한, 일본의 『쇼쇼원문서』와 『연희식』, 그리고 원나라의 『거가필용』에서도 김치가 언급된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이미 채소와 향신료를 활용한 김치가 존재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1392년 - 1910년)의 김치

 

조선시대 중엽, 고추의 도입으로 김치에 큰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이전에는 김치를 소금물, 천초, 회향 등의 향신료로 담갔지만, 고추의 도입으로 맛과 향이 크게 달라진 것입니다. 1670년경의 『음식디미방』에는 소금 없이 숙성시키는 방법으로 만들어진 동아와 산갓을 이용한 김치도 소개가 되어 있습니다. 또한, 생치침채법과 같은 독특한 김치 레시피도 나타납니다.

이후 『농가집성』과 『요록』에서는 더 다양한 김치류가 기록됩니다. 그러나 고추의 도입 이전까지는 오늘날과 같은 매운 맛의 김치는 없었습니다. 1766년의 『증보산림경제』에서 처음으로 고추를 사용한 김치가 등장하며, 총각김치나 오이소박이와 같은 현대적인 김치의 기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고추를 포함한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하여 다양한 김치를 만드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기록들은 김치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보여주며, 고추의 도입이 한국 김치 문화에 얼마나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는지도 잘 보여줍니다.

 

 

김치의 전파

 

 

한국의 김치 문화는 중국에도 전해졌습니다. 1712년 김창업의 『연행일기』에 따르면, 한국에서 귀화한 노파가 중국에서 김치를 만들어 판매하며 생계를 유지했고, 그녀가 만든 동치미의 맛이 서울의 것과 같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1803년의 『계산기정』에서는 중국의 통관 집에서 한국의 김치 만드는 법을 모방하여 만든 김치가 맛있다고 언급되어 있습니다. 또한, 중국 쓰촨 지방의 포채(泡菜)는 한국의 동치미와 유사한 점이 있으며, 임진왜란 때 명나라 원군 중 쓰촨 출신의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에 한국의 김치 문화가 중국에 전해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김치 종류와 재료

 

김치 종류

 

김치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사용되는 재료와 조리 방법에 따라 종류가 다릅니다. 몇 가지 대표적인 김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배추김치 (백김치): 배추와 무, 다양한 채소와 양념을 사용하여 만듭니다. 백김치는 고추가루를 사용하지 않은 김치입니다. 
  2. 깍두기: 무를 원하는 크기로 썰어서 만드는 김치입니다.
  3. 오이소박이: 오이를 주재료로 하고, 고춧가루와 다양한 양념소를 채워 넣어 만듭니다.
  4. 총각김치: 어린 무를 잎과 줄기 통째로 사용하여 만드는 김치입니다.
  5. 동치미: 무를 주재료로 하고 맑은 국물이 특징인 김치입니다.

이 외에도 열무 김치, 파김치, 굴김치, 부추김치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또 지역별, 계절별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수많은 김치 종류가 존재합니다.

 

 

주 재료

 

배추와 무: 가장 흔히 사용되는 채소입니다. 배추김치와 무를 이용한 김치인 배추김치와 깍두기, 총각김치는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김치 종류 중 하나입니다.

기타 채소: 오이, 부추, 파, 열무 등 다양한 채소가 사용되며 지역이나 계절에 따라 재료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양념

 

고추가루: 김치의 매운맛을 내는 핵심 재료입니다. 한국 고유의 고추가루는 김치 특유의 색과 맛을 내게 합니다.

마늘과 생강: 이 두 재료는 김치의 풍미를 깊게 해주며, 발효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젓갈: 발효된 해산물로, 김치에 짭짤한 맛을 더하고 발효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외에도 파, 무, 사과, 양파,  굴, 발효액기스 등 다양한 재료들이 있으며 만드는 사람들 입맛에 맞게 재료들이 들어갑니다. 

 

한국의 전통 음식 김치

 

 

 

김치 발효와 유산균

 

김치는 발효 과정에서 풍미가 더해지고 맛과 향이 달라집니다. 발효는 김치를 담근 직후 서서히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유익한 박테리아와 효모가 생겨납니다. 이 박테리아들은 김치의 맛을 깊게 하고 소화에 도움을 주며 장 건강 개선, 면역 체계 강화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이것을 우리는 김치 유산균이라고 합니다.

 

 

김치 유산균의 좋은 점

 

장 건강 개선: 김치 유산균은 장내 유익균의 성장을 촉진하고 유해균의 성장을 억제하며 소화력을 향상시키고 장 건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면역 체계 강화: 김치의 유산균은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데에도 도움을 줍니다. 건강한 장내 환경은 면역 체계 의 기능을 향상시키며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전반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영양소 합성: 김치 유산균은 비타민 B와 K 같은 중요한 영양소를 합성합니다. 이 영양소들은 신체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활성화 시킵니다. 

소화 촉진: 김치 유산균은 소화를 돕고 식욕을 증진시키며, 특히 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는 효소들이 음식물의 분해와 흡수를 도와 건강한 소화 과정을 돕습니다.

질병 예방: 김치 유산균은 특정 질병을 예방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김치가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대조 실험의 범위 검토"라는 연구에서는 김치 섭취가 대장암과 같은 특정 암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결과를 언급했습니다.

체중 조절: 유산균은 체중 관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건강한 장내 환경은 신체의 대사 기능을 개선하고 체중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요약

 

김치는 다양한 채소와 양념을 사용하여 만드는 한국의 전통적인 발효 음식입니다. 김치의 역사는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어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거쳐 발전하였으며, 특히 조선시대에 고추가 도입이 되면서 김치의 맛과 향을 풍부하게  만드는 커다란 변화가 발생했습니다.

김치의 주요 재료로는 배추, 무, 오이 등이 있으며, 고추가루, 마늘, 생강, 젓갈 등 다양한 양념이 사용됩니다. 이 재료들은 김치의 독특한 맛과 향을 만들어냅니다. 그리고 김치 발효 과정에서는 유산균이 생성되며, 이 유산균은 장 건강 개선, 면역 체계 강화, 영양소 합성, 소화 촉진 등의 효과를 지니고 있습니다.

강조하자면 김치는 그 역사적, 문화적 가치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매우 유익한 식품입니다. 다양한 재료와 발효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김치는 한국 음식 문화에 있어 커다란 가치를 지니며 세계적으로도 인정받는 건강 식품입니다. 

 

한국의 전통 음식 김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