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2 스키너, 조작적 조건화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1. 조작적 행동의 정의스키너는 The Behavior of Organisms (1938)에서 조작적 행동(Operant Behavior)을 "유기체가 환경에 작용하여 결과를 초래하는 행동"으로 정의했어.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Classical Conditioning)와 달리, 자발적인 행동이 외부 결과에 의해 조절된다는 점에서 차별화돼. 예를 들어, 쥐가 레버를 누르는 행동은 자발적으로 시작되지만, 그 결과(먹이 제공)에 따라 빈도가 변한다는 거야.스키너는 논문에서 조작적 조건화를 "반응률(rate of response)"로 측정했어. 실험에서 쥐가 레버를 누르는 횟수를 기록하며, 특정 자극(강화나 처벌)이 반응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지. 그는 이 과정이 단순 반사(.. 2025. 3. 5.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이론 파블로프는 러시아의 생리학자로, 소화 과정을 연구하던 중 우연히 발견한 현상을 보고, 그 유명한 고전적 조건화에 대한 이론을 발표하게 됩니다. 그의 대표 논문인 Conditioned Reflexes (1927)를 참고하여, 고전적 조건화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파블로프의 발견: 우연에서 시작된 혁신파블로프는 1849년 러시아에서 태어났으며 소화 기관을 연구하던 생리학자였습니다. 개의 타액 분비를 측정하던 어느 날 이상한 점을 발견했어요. 실험실 조수가 들어오거나 특정 소리가 들릴 때마다 음식이 없는데도 타액을 분비하기 시작한 거예요. 파블로프는 이 현상을 우연으로 넘기지 않았습니다.그는 논문에서 이렇게 말합니다:"우리는 처음에 이 현상을 '심리적 분비(psychic secretion)'라고 불렀다. .. 2025. 3. 5. 家徒四壁(가도사벽) 家徒四壁(가도사벽)家(집 가) 徒(무리 도) 四(넉 사) 壁(벽 벽)집안 형편이 무척이나 어려워서 살림이라고는 네 개의 벽밖에 없다는 뜻. 유래 : 한서(漢書) 사마상여전한나라의 문인 사마상여는 문인으로 명망이 높은 사람이었으나 빛을 보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황제(한경제 유계)의 사냥터를 관리하다가 임공이라는 지역의 왕길에게 몸을 의탁하게 되었습니다. 임공에는 탁왕손이라는 갑부가 살고 있었는데 그가 연 연회에서 거문고를 타게 되었고 탁왕손의 딸 탁문군의 눈에 띄게 되었습니다. 둘은 마음이 맞았으나 탁왕손은 사마상여가 너무나 가난하기 때문에 허락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탁문군은 사마상여와 야반도주를 하였는데 사마상여의 집에 도착해 보니 집안에는 아무것도 없고 네 개의 벽만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2024. 12. 23. 오합지졸(烏合之卒) 오합지졸(烏合之卒)"까마귀가 모인 것 같은 군졸"조직이나 규율 없이 어수선하게 모인 무리나 군대를 뜻함.어중이 떠중이를 비유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유래 : [후한서(後漢書) 경엄전]에 기록된 일화에서 유래 출처 : 임종욱 고사성어 대사전 하북성 상곡의 태수였던 경황에게는 총명하고 사리분별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용감무쌍한 경엄이라는 아들이 있었습니다. 아들 유수는 아버지에 의해 유수(후일 후한의 광무제)의 휘하에 들어가기 위해 부하들과 함께 유수를 찾아 길을 떠나게 됩니다. 가는 도중에 왕랑이 스스로 천자라 칭하며 황제로 등극했다는 소식이 .. 2024. 12. 16. 이전 1 2 3 4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