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시(Identification), 나는 왜 저 사람처럼 되고 싶을까?
“나도 저 사람처럼 되고 싶어.” 한 번쯤 해봤던 생각이죠. 어릴 땐 부모를, 사춘기엔 선생님이나 연예인을, 성인이 되어선 멋진 상사나 친구를 닮고 싶어 하곤 합니다. 이처럼 어떤 사람을 닮고 싶어서 무의식적으로 그 사람의 말투나 태도, 감정까지 따라하게 되는 현상을 심리학에서는 ‘동일시(Identification)’라고 해요. 오늘은 이 ‘동일시’라는 개념을 조금 더 가깝고, 현실적인 이야기로 풀어보려 합니다. 혹시 나도 모르게 누군가와 자신을 겹치고 있지는 않은지, 한 번 같이 들여다봐요.
동일시란 정확히 무엇인가?
동일시(Identification)는 심리학에서 자신이 어떤 인물과 정서적 유대를 맺고, 그 인물의 특성이나 감정을 자기 것으로 받아들이는 무의식적 과정을 말해요. 쉽게 말하면, “그 사람처럼 되고 싶어” 하는 마음이 내 행동이나 사고방식으로 번지는 거예요.
아이들이 부모의 말투나 습관을 따라 하듯, 동일시는 우리가 사랑하거나 존경하는 대상을 닮아가려는 마음에서 출발해요. 프로이트는 동일시를 자아 형성의 핵심 메커니즘으로 보기도 했죠. 특히 어린 시절에는 이 동일시를 통해 성격의 기초가 형성되기도 합니다.
일상 속 동일시, 이렇게 나타난다
동일시는 매우 흔하고, 생각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우리 삶에 나타나요. 아래 표에서 그 대표적인 예시들을 정리해볼게요.
상황 | 동일시의 모습 |
---|---|
아이의 말투 변화 | 아버지처럼 말하거나 행동하기 시작함 |
롤모델 모방 | 존경하는 상사의 습관이나 어투를 자연스럽게 따라함 |
감정 이입 후 행동 변화 | 영화 속 캐릭터처럼 생각하거나 말하게 됨 |
자아 형성과 동일시의 관계
동일시는 단순한 모방이 아니에요. ‘나는 누구인가’를 만들어가는 과정</strong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거든요. 우리가 어떤 대상을 이상화하고 그를 닮아가려 할 때, 그 특성이 조금씩 내 자아 속으로 스며드는 거예요.
- 어릴 적 부모의 태도를 동일시 → 기본적인 대인관계 형성
- 사춘기 시절 우상(연예인, 선배 등)을 동일시 → 가치관 형성에 영향
- 성인 이후에도 이상적인 인물을 닮고 싶어 하며 자기발전의 기준이 됨
이렇게 동일시는 자아 형성의 퍼즐 중 하나로 작용하면서, ‘나답게 살아간다’는 느낌을 만들어주는 심리 작용이 될 수 있어요.
동일시의 그늘, 자아 상실
동일시가 자아 형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경계가 모호해질 때는 ‘자기다움’을 잃게 되는 위험**도 있어요. 특히 무의식적으로 반복된 동일시는 자신도 모르게 '진짜 나'를 지우고, 타인의 인생을 대신 살아가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의 삶을 이상화한 사람이 “나는 그렇게 살아야만 해”라고 굳게 믿고 자기 욕망을 무시한 채 살아가는 경우가 있어요. 이는 내면화와 겹치는 지점도 있지만, 동일시는 특히 ‘타인의 모습이 곧 나’가 되어버리는 정체성 혼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위험할 수 있죠.
무의식적 동일시를 알아차리는 방법
내가 동일시하고 있다는 걸 자각하는 건 쉽지 않지만, 아래와 같은 질문을 스스로 던져보면 무의식 속 동일시를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질 문 | 점검 포인트 |
---|---|
내 가치관은 스스로 만든 걸까? | 부모나 사회의 기준을 그대로 따르고 있진 않은가? |
어떤 사람의 말투나 태도를 무의식적으로 따라 하나? | 그 사람의 존재감이 내 삶에 너무 크진 않은가? |
내 욕망이 아니라 ‘그 사람이라면 어떻게 할까’를 기준 삼진 않나? | 기준의 중심이 ‘나’가 아닌 ‘그 사람’일 가능성 |
감정이입, 내면화와 어떻게 다를까?
동일시는 종종 감정이입이나 내면화와 헷갈리곤 해요. 하지만 각 개념은 작동 방식도, 목적도 조금씩 다릅니다. 간단한 비교 리스트로 정리해볼게요.
- 감정이입: 타인의 감정을 ‘함께 느끼는 것’
- 내면화: 타인의 가치나 기준을 비판 없이 ‘들이는 것’
- 동일시: 타인의 성격이나 태도를 ‘내 자아 일부로 삼는 것’
즉, 감정이입은 ‘공감’, 내면화는 ‘기준 흡수’, 동일시는 ‘자기 정체성의 변화’라는 점에서 구분해볼 수 있어요.
‘동일시’는 누군가를 닮고 싶어 하는 마음에서 시작되지만, 그 끝은 자칫하면 나를 잃는 방향으로 흘러갈 수도 있어요. 그래서 우리는 “나는 왜 저 사람을 닮고 싶어 할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타인을 통해 나를 알아가되, 그 안에서 ‘나만의 색’을 놓치지 않기를. 이 글이 당신이 ‘자기다움’을 지켜내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내가 그 사람처럼 느껴질 때: 동일시란 무엇인가?
내가 그 사람처럼 느껴질 때: 동일시란 무엇인가?타인의 감정이 내 것처럼 느껴질 때, 우리는 어떤 심리 과정을 겪고 있는 것일까요? 동일시는 공감의 깊이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 중 하나입니
ohneulheiler.com
내면화(Introjection), 타인의 목소리가 내 안에 스며드는 순간
내면화(Introjection), 타인의 목소리가 내 안에 스며드는 순간
내면화(Introjection), 타인의 목소리가 내 안에 스며드는 순간우리는 생각보다 자주, 다른 사람의 생각을 마치 내 생각인 것처럼 착각하며 살아갑니다. 특히 부모나 선생님, 사회가 주입한 기준이
ohneulheiler.com
감정이입, 내면화, 동일시, 동화... 도대체 뭐가 어떻게 다른 건데?
감정이입, 내면화, 동일시, 동화... 도대체 뭐가 어떻게 다른 건데?
감정이입, 내면화, 동일시, 동화... 도대체 뭐가 어떻게 다른 건데?비슷비슷해 보여서 헷갈리는 심리적 개념들, 한 번쯤 들어봤지만 정확히 구분하긴 어렵죠. 감정이입, 내면화, 동일시, 동화…
ohneulheiler.com
동일시, 자아형성, 심리학개념, 정체성, 무의식, 감정이입, 내면화, 자아성찰, 인격발달, 자기이해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화? 감정 동화? 헷갈리는 심리 용어 (0) | 2025.04.17 |
---|---|
동화(Assimilation), 세상을 내 방식대로 해석하는 심리 (0) | 2025.04.16 |
감정이입(Empathy), 진짜 공감은 어디까지일까? (1) | 2025.04.14 |
감정이입, 내면화, 동일시, 동화... 도대체 뭐가 어떻게 다른 건데? (1) | 2025.04.13 |
내면화(Introjection), 타인의 목소리가 내 안에 스며드는 순간 (0) | 2025.04.12 |